#횡성소망농장
#농산물가공
#명품 미숫가루
#참기름,들기름,탈피들깨가루
#땅콩,서리태, 팥, 더덕
역사상 900여회나 되는 외세침략을 받았는데 한번 전쟁을 치르고 나면 전쟁에 나간 남자들은 거의 씨가 말라버릴 정도로 많이 죽었지요.
두번다시 이 땅에서는 전쟁이 일어나서는 안됩니다
해서~~! 졸지에 과부가된 여자들과 과년한 처녀들은 시집도 못가고 아이를 낳고 싶어도 낳을 수가 없었답니다.
어디를 간다 해도 쉽게 씨를 받기가 어려웠던 거지요.
그래서 한이 맺혀 하는 소리가 있었으니 그 소리가 바로 “얼씨구 절씨구 지하자졸씨구'' 였다고 합니다.
그 말 뜻은
얼씨구(蘖氏求) : 세상에서 가장 멸시 당하는 서자(庶子)의 씨라도 구해야 겠네
절씨구(卍氏求) : 당시 사회에서 천노(賤奴)였던 중의 씨라도 받아야 겠네
지하자졸씨구(至下者卒氏求) : 가장 낮은 졸병의 씨라도 구해야 겠네
이렇게 남자의 씨를 구하고자 했던 아픈 사연이 숨어 있다고 합니다.
한자 원문을 풀이해 보면 다음과 같다고 이야기합니다.
얼씨구(孼氏求)란?
우리나라의 가족사에 서얼(庶孼)이란 말이 있어요.
서자(庶子)와 얼자(孼子)를 합친 말이지요.
서자(庶子)는 양반의 남자가 양가나 중인의 여자를 첩으로 얻어 낳은 자식을 말하며
얼자(孼子)란 천민의 여자로부터 얻은 자식을 말합니다.
그러니 천대받는 서얼(庶孼)의 씨라도 구한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지요.
또 절씨구(卍氏求)란
절깐에서 씨를 구한다는 의미이니 중의 씨를 구한다는 뜻인데
당시 승려는 사노비(私奴婢)와 백정, 무당, 광대, 상여꾼, 기생(妓生), 공장(工匠)과 함께 팔천(八賤)이라 하여 천민(賤民)에서도 최하위 천민에 속해 있었지요.
그래서 천민에 속해 있는 중의 씨라도 구한다는 의미가 되지요.
지하자졸씨구(至下子卒氏救)는 세상에서 가장 바닥생활을 하던자로
어딘가 모자라고 신체적으로 불구(至下子)인 이들은 전쟁터에 나가는 최하위 졸병들의 수발을 들며 허드레 막일을 하던 사람들이었답니다.
한마디로 병신(病身)인 졸병의 씨라도 구한다는 의미라 합니다.
아마도 전해지는 일본의 ''기모노 내력'''과 비슷한 시대였다고 생각됩니다.
우린 각설이 타령에 이런 가슴아픈 의미가 숨어 있는지도 모르고 그저 각설이 타령은 거지들이 구걸하는 모습으로만 알고 있었으니 실로 안타깝기 그지 없습니다.
더 나아가 술자리에서 건배를 하며 태평성대를 즐기는듯 ‘얼씨구 절씨구 지하자 좋다’하면서 술을 마시고 춤을추고 있었으니 이 일을 어찌하면 좋을런지요
모릅니다
너무나 절실해서 가슴으로 울어 보지 않은 사람은 모릅니다
"그 간절함의 깊이를"
남들이 쉽게 잠드는 밤에 술기운을 빌려서 잠들어 보지 않은 사람은 모릅니다
"그 복잡한 마음을"
비 오는 밤 사람이 그리워 여기저기 수첩을 뒤적여도 마음 편히 전화할 사람이 없어 전화기를 들지 못할 정도로 서글퍼 보지 않은 사람은 모릅니다
"그 소외감을"
많은 사람이 웃으며 걷는 거리를 무거운 걸음으로 혼자서 걸어보지 않은 사람은 모릅니다
"그 걸음의 무게를"
누가 건들지 않아도 늘 깨질 것처럼 바람 불면 날아갈 것처럼 위태하게 살아보지 않은 사람은 모릅니다
"늘 누군가에게 기대고 싶어 하는 마음을"
마지막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가슴으로 울어보지 않은 사람은 모릅니다
"그 외로움이 얼마나 깊은지"
사랑하는 사람이 그리워도 보지 못하는 아픔을 견뎌보지 않은 사람은 모릅니다
"그 마음이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그 속이 얼마나 쓰린지"
오늘 하루
사색에 잠겨 보세요
가끔은 내 자신이 다른 사람의 생에 필요한 영양소 일지도 모릅니다